브로델의 시간대 구분

- 1. 단기 - 사건의 시간. 정치사가들이 주목. 문제는 끝없는 인과고리에 빠진다는 점. 사건은 늘 다른 사건에 의해서만 설명됨

- 2. 중기(conjoncture) - 주기적 변화를 보이는 시간. 인구변동/물가변동 등 상하의 순환을 그리는 시간대. --- 설명방식은 사건의 시간대와 결합하거나, 콩종크튀르와 결합하는 것. 브로델은 후자를 선호함.

- 3. 장기지속(longue duree) - 기후/지리 등의 자연적인 것들의 집합(지중해). 자본주의 자체로도 설정됨(물질문명과 자본주의). '모델'을 통해 설명. << 브로델 역사이론의 핵심은 전체사(정치/경제/사회문화 분리불가능 강조하는 입장)와 문제사(역사서술이란 역사가의 질문과 문제설정에 의해 구성된다는 관점) >> 모델은 문제사에서 등장하는 틀. 기록의 실재가 지속되는 기간이 바로 장기지속의 시간대인 것. --- 모델은 장기지속과 콩종크튀르의 결합으로 생명력 획득. 즉, 브로델의 자본주의는 콩종크튀르를 통해 자기변신해가는 장기지속이며, 그것의 공간적 범위는 '세계-경제'이다.

- 4. 초장기지속 - 레비스트로스의 시간대. 영구한 시간. 제약 없는 심층구조의 시간대. 사회수학이라 부를 만함. 분석으로부터 역사를 배제함.

브로델의 삼층 도식


-삼층의 구분 -물질문명(불투명한 일상생활 영역)/시장경제(국지적 성격의 투명한 교환의 영역)/자본주의(다국적 성격으로 지식과 기술의 독점 영역. 정치적 지원과 결합. 시장경제 교환과정을 왜곡/교란. cf. 기술의 진보조차 시장경제 영역의 것을 이윤획득을 위해 자본주의가 차용한 것)


- 삼층의 토픽과 자본주의 성격 - 자본주의란 시장경제의 반명제로서의 독점을 향한 대자본들의 경쟁에 동력을 둔 것.


- 역사적 자본주의의 함의 1 - 세계경제. 지리적 팽창


- 역사적 자본주의의 함의 2 - 경쟁을 통한 계서제 형성. 자본의 규모가 지리적 집중. 세계도시의 탄생. 세계도시사는 독점의 변천사. 세계경제는 집중화 경향 지님.


- 역사적 자본주의의 함의 3 - 독점을 향한 경쟁은 정치와 경제의 융합 경향 배태. 정치/경제/군사적 지원의 유무에 따라 게임의 승리 가능성 달라짐. 이는 국내적으로도 마찬가지.


- 역사적 자본주의의 함의 4 - 끝없는 이윤추구와 독점추구 때문에 자본주의의 본질은 전문화가 아니라 다양화와 탁월한 변신성. 상업자본주의->산업자본주의->금융자본주의 혹은 경쟁자본주의->독점자본주의로의 발전이 아님. 이윤 영역의 변화, 즉 고이윤의 중심에 따라 생산/유통/금융의 영역을 수시로 옮김. 이 때문에 자본주의의 '역사'가 발생

Posted by 김성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