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배제의 공간적/문화적 관점

― 서울 등촌3동 영구임대아파트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김성윤/ 중앙대 사회학과 석사

2005.11.4. 비판사회학대회 발표



1. 사회문화적 배제에 관한 문제 제기


애초 이 연구에 앞서 연구자는 현대도시의 빈곤 거주 양상을 확인하려는 문제의식을 갖고 있었다. 이미 ‘신빈곤’이나 ‘사회적 배제’ 논의 등을 통해 알려진 것처럼, 사회성격이 후기산업사회적 면모를 갖춰가면서 빈곤의 개념이 절대빈곤에서 상대적 빈곤으로 확장되는 등, 그에 따른 사회적 대응 역시 변화해가는 추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주거지를 중심으로 한 도시빈민의 관리전략 역시 일정 정도 변화의 흐름을 타고 있다는 것이 연구자의 견해였다.1) 그러한 견해가 빈곤 연구에 있어 다소 일반론적인 성격이 있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그 초점 범위를 다소 줄이고자 한다. 즉 사례 연구 지역을 중심으로 도시빈민의 관리전략이 어떻게 문화적 구별과 차별로 연결되는지를 보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제기는 또한 두 가지 표적을 겨냥하고 있다. 첫째는 경제중심적 관점으로 진행되고 있는 기존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논의들을 문화적 관점으로 확장하고자 하는 것이다. 빈곤에 관한 논의들은 최저생계비?빈곤선 등을 책정하는 사회경제학적 접근 방식과 빈곤 실태를 조사하여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복지주의적 접근 방식, 그리고 빈민들의 주거공간을 중심으로 도시구조와 불평등체계를 짚어내는 지리학적 접근 방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들은 대개 분배 문제나 정치경제학 비판 등의 중요한 경제주의적 함의를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빈곤의 문제가 각 개인들에게 문화적 영향을 끼치는 바에 대해서는 설명이 취약할 수밖에 없다. 물론 그동안 빈곤문화론과 같이 문화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 경우도 빈민들의 생활방식이 빈곤의 악순환으로 빠지게 하는 원인이 된다는 사실상 ‘문화적 낙인’론에 근접해 있거나(박병현/최선미, 2001 참고), 빈민들의 심리적 상실감에 대해 온정주의적 태도와 사회적 통합을 호소하며 이론적 인간주의에 빠진 경우들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 글의 이론적인 첫 번째 목적은 이론적인 긴장과 사회개혁적인 태도를 유지하면서, 사회적 배제 논의를 문화론적으로 확장하는 것이 된다.

두 번째 표적은 문화주의적 경향들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무기력증’을 극복하는 것이다. 문화연구를 중심으로 한 최근 문화학의 경향들은 미디어텍스트의 코드와 해석의 문제에 지나치게 집중함으로써, 그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치학적인 함의들을 변색시키는 감이 없지 않다. 물론 1990년대 후반 이러한 문제에 대해 대단위의 성찰이 있기는 했지만(고길섶, 1997; 양은경, 1999 ; 이동연, 1997), 문화주의 자체가 가지고 있는 사회적 실천력을 대중텍스트 너머에 있는 개인들의 일상적 차원으로까지 이동시키기엔 역부족이었던 게 사실이다. 그러나 유물론적 관심을 유지하는 한, 문화주의는 사회적 문제들에 대한 인식의 폭을 물질적 체계에서 의미의 체계로 넓혀줄 수 있다. 가령 이데올로기 비판, 언어와 담론 연구, 기호와 상징체계 분석 등은 우리 사회의 동학을 설명하는 데 있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점은 도시빈민의 문화적 배제 양상을 추적하려는 본 연구에도 시사하는 바가 없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도시빈민의 사회문화적 배제를 연구하는 이 글은 (사회적 배제 논의에의 문화적 관점 도입과 함께) 대중텍스트로 제한된 문화연구의 의미화 실천(signifying practice) 전략을 빈곤과 배제와 같은 사회관계의 텍스트로 이전시키고자 하는 의도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이 글에서의 사회문화적 배제라 함은, 행위자간의 배제와 같은 행위 양식은 물론, 공간의 구획과 배치 그리고 상징체계를 토대로 한 제도 양식의 층위까지 포괄한다.

이러한 틀에서 공공임대주택을 중심으로 이 글은 우선 사회적 배제의 논의에 문화론적 함의를 연결시켜줄 수 있는 고리를 탐색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그 매개 혹은 대상은 ‘공간의 문제’가 된다. 물리적 공간의 구획체계가 기호학적 층위에서 사회문화적 의미를 구성하는 측면은 본 연구의 핵심적인 지점이 된다. 다음으로는 연구의 사례 지역을 중심으로 경험적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사례 지역은 서울 등촌3동의 영구임대아파트단지인데, 이곳의 공간 배치 전략을 분석함으로써 제도적 층위의 배제를 확인하고, 또한 주민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행위자적 층위에서 일어나고 있는 배제의 성격을 규명할 것이다.



2. 사회적 배제와 공간의 문제 ― 물리적 공간과 사회-공간


이론적 관점과 입장에 따라 그 이해나 쓰임새가 다양하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사회적 배제’는 빈곤 개념에 비해서 보다 동태적인 개념이고 다차원적인 접근으로 평가되고 있다. 요컨대, 빈곤이 소득 내지 화폐자원의 결핍이라면, 사회적 배제는 다차원적인 불이익(multi-dimensional disadvantage)으로서 노동시장으로부터의 경제적 배제, 사회의 보편적 가치관 및 행동양식에 참여할 수 없는 문화적 배제, 정치적 의사결정이나 복지 혜택의 기회로부터 멀어지는 제도적 차원의 배제 등 다면적인 성격을 띤다. 따라서 사회적 배제는 빈곤층의 사회적 삶 전체에 대한 탐구를 전제로 한다(신명호, 2004).

그런데 여기서 문제는 사회적 배제의 양상이 어떻게 문화적 층위로 스며들거나 표출되느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일상의 경험을 둘러싼 사회계급간 차별적 정서와 그에 대한 심리적 반응, 그리고 갈등양상과 상징폭력의 행사와 같은 문제 역시 중대한 관찰지점이 아닐 수 없다. 흥미로운 것은 이러한 양상들이 공간을 매개로 작동한다는 점이다. 워캉은 노동의 양극화로 인한 불안정 저임금노동자의 양산이 특정한 주거형태를 지닌 집단주거지로의 집중현상을 유발하고, 이러한 집단화 경향에 의해 도시빈민들이 (긍정적일 수도 부정적일 수도 있는) 사회적 시선으로부터 결코 자유롭지 못하게 되는 현상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그는 사실상 이것이 ‘빈곤의 감옥’과 다를 게 없으며 심지어는 이로써 사회적 판옵티즘(social panoptism)2) 체제가 구축되었다고 주장한다(Wacquant, 2001).

사회적 배제의 이러한 공간적 메커니즘은 보다 중요한 맥락에선 다른 장소들과의 사회적 차별성을 토대로 이뤄진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본주의의 구조화 논리가 변동하면서 사회적 경계가 뚜렷해지는 양상이 우선적으로 지적된다. 가령 도시공간을 포섭해 들어가는 건설자본(과 부동산투기자본)은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논리로써, 주거공간의 근대적 모듈화를 심화시켰다. 그 결과 규격화된 장소들은 사회적 등급을 배태하면서 명시적인 사회적 경계로 작동하게 된다.3)

사회적 경계의 구성은 물리적 공간의 분리가 어떻게 사회-공간적(socio-spatial) 차원과 연결되는지를 잘 설명해준다(Bourdieu, 1991). 앞서 워캉이 공간 자체의 의미체계(빈곤의 감옥과 사회적 판옵티즘)를 거론하고 있다면, 이번에는 공간의 구성이 왜 사회적 경계, 즉 ‘정체성’의 문제로 연결되는가 하는 질문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그것은 바로 물리적 공간들의 등급화된 차이 때문이다. 경제적 수준에 따른 주거지 집중 문제 등으로 인해, 지역 공간과 건물 공간은 표준화되고 등급화되기에 이른다. 이렇게 만들어진 차이는 공간 자체의 속성으로 인지되며, 이를 근거로 공간을 점유하는 개인 혹은 집단의 정체성도 구성하게 된다(Sibley, 1998). 가령, 사회적 배제의 양상으로 최근의 연구들이 보고하고 있는 격리된 (임대주택) 지역 빈민들의 △사회적 무력감과 소외감 △사회적 낙인 △언어폭력 △계층간 위화감과 갈등 등의 문제 역시 정체성을 둘러싼 사회문화적 배제의 문제로 재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2:25; 김성윤, 2003; 김위정, 2003).

물론 이 때의 재해석이라 함은 단순히 도시빈민들의 일상에 대해, 표층적으로 서술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의미화 실천의 행위로서 이해하는 것이다. 그렇게 볼 때 공공임대주택정책의 경우, 사회적 배제의 과정이 그 스스로를 ‘자연화’하고 있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배제의 과정에서 중간층이 도시빈민들과 직접적인 갈등을 양산하는 능동적인 주체로서 재현되기는 하지만, 실제로는 그들 역시 배제를 둘러싼 사회적 관계에 놓여 있을 뿐이다. 여기서 빈민들에게 국가는 (적어도 주거정책에 있어서) 오히려 시혜를 베푼 주체로서 미화될 수도 있다. 즉 최근의 도시빈민 관리체제는 빈민들을 중산층과 직접적으로 대면하게 하면서4) 국가-자본의 역할을 추상화하고, 물리적 공간의 분리와 사회-공간적 차이의 체계들을 생산하면서 주도면밀하게 배제의 형식을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적 배제의 논의에서 ‘공간’은 그 자신이 행위자들을 분리시키는 차원으로서 작동하는가 하면, 행위자들간의 배제를 가능하게 하는 매개로서 기능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그 무게중심을 빈민주거지역, 그 중에서도 공공임대아파트에서 이뤄지는 사회문화적 배제에 두고자 한다. 물론 이러한 문제를 창출하는 정치경제적 조건들과 정책적 배제의 함의들이 중요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미 현재적 상황은 도시빈민의 일상적 감수성을 변화시킬 정도로 고도화되어 있다. 실제로 오늘날 도시빈민의 일상 주변에는 사회경제적 배제를 은폐하는 공간적 설계가 있는가 하면, 그들의 정체성을 구성하고 재현하는 일련의 과정들이 있으며, 이러한 것들이 행위자적 측면에서 재생산될 수밖에 없는 메커니즘 역시 엄존해 있다.



3. 배제의 차원으로서의 공간, 배제의 매개로서의 공간


사실 사례지역인 등촌3동을 포함하여 영구임대아파트의 주거환경은 그 이전의 도시빈민 관리전략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주거환경의 개선을 성취해냈다. 영구임대주택은 저렴한 주거비용을 부담지음으로써 입주한 거주민들에게 이전의 무허가정착지와는 전혀 다른 주거 수준을 제공하고 있다. 중앙난방, 엘리베이터, 근린공원, 다용도실, 욕실, 입식 부엌 등은 이들에게 달라진 생활수준을 절감하게 해주는 문화적 증거물들이다.

이 곳 영구임대아파트 단지는 건설자금의 85%가 국가재정으로 충당된 공영개발의 산물이기도 하다(건설교통부, 2003). 그런 만큼, 사회-공간적으로 등촌3동 영구임대주택단지의 입지는 다분히 상징적이다. 1960~70년대 도심철거-재개발 당시의 보상물로서 철거민들이나 무주택자들에게 주어졌던 신월동 등이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고, 1980년대 합동재개발 전략의 도입부에 공영개발로 구획되었던 목동아파트 단지도 이웃해 있다. 그런가 하면 이곳 강서지역에서 등촌동(인접한 가양동과 방화동의 경우도 마찬가지다)은 1990년대의 도시개발 전략을 함축하고 있다. 빈민지역 철거가 도시 내 무허가정착지의 연쇄적 재탄생을 유발했던 전사(前史)와 달리, 이곳의 역사적 의미는 도시빈민들을 실질적으로 제도화된 합리적 도시공간 내로 완전히 포섭하고자 했던 시도로서 해석되기 때문이다.

단적으로, 등촌3동 영구임대아파트 단지의 공간 구획 전략은 두 가지 측면으로 요약된다. 우선은 이 지역이 하나의 ‘게토’로서 사회적 격리라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고, 다음으로는 이 안에 빈민층과 다른 중산층 집단의 아파트 단지가 집산해 있는 사회적 혼합이라는 속성도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


(1) 코드1: 사회적 격리


등촌3동의 영구임대아파트들은 그 외부에서 훑어보면, 한 세대 당 15평 내지 20평은 족히 되는 것처럼 관찰된다(그림 1 참조). 즉 외부에서 보면 이곳의 빈곤 수준이 가시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중상층 중심의 목동단지에 버금가는 포장도로와 스카이라인을 형성하고 있는 고층 아파트들(15층 규모)은 등촌3동에 빈곤이 존재하리라는 상상을 불허한다. 그런데 이러한 측면은 사실상 엄존하는 빈곤의 현실을 은폐하고 있다. 실제로는 8~10평 규모의 절대적으로 협소한 실내공간에 2~5인 가족이 극심한 사회경제적 차별을 겪으며 살고 있는데, 사정을 온전히 파악할 수 없는 외부인들은 가난의 존재를 인지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일반인들 중에는 등촌동 아파트 단지에 대해 알고 있다 하더라도, 이 아파트 단지가 영구임대주택임을 모르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이곳의 정식 명칭 자체가 ‘등촌주공아파트’이지, ‘등촌동 영구임대아파트’는 아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은 인근 가양동도 마찬가지인데, 가양단지의 정식 명칭 역시 ‘가양동 도시개발아파트’이다. 사람들이 이곳을 ‘눈치 채지’ 못하는 이유는 또 있다. 이 인근을 아무리 왕래하여도 이렇다 하게 빈곤의 스타일을 목격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즉 외부인들이 보기에 이곳 사람들은 가난해 보이지 않는다. 그다지 노후해 보이지 않는 아파트 공간 등 이곳에서 산출하는 도시스펙터클은 도시빈민의 존재감을 결코 노출시키지 않는다.

이러한 역설이 바로 1990년대 도시빈민 관리전략의 흔적이자, 핵심이다. 이러한 속성은 1990년대 이전과 이후를 크게 가르고 있다. 화곡동과 목동은 공간적 지배소가 어떻게 구성되었든 간에, 자신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드러낸다. 재래시장/다세대주택/새마을운동본부가 1970년대의 아이콘 기능을 하며, 상가밀집지역/중대형아파트/종합운동장 등은 1980년대의 아이콘이 된다. 반면 1990년대에 건설된 등촌동 단지는 좀처럼 자기 정체를 노출하지 않는다.


<그림 1)> 8평 공간이 16평 이상으로 보일 수 있다.

<그림 2)> 등촌3동 아파트단지의 지도. 거대한 상업지구로 둘러싸여 있다.


등촌3동 영구임대아파트단지의 경우, 해당지역 전체가 상업지역(그림2의 굵은 선)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1단지, 2단지 등의 개별단지들은 소차로를 통해 인접하면서 내부적으로 소통이 자유롭지만, 거대한 단지 전체는 상업지구에 의해 포획되어 있다. 상업지구가 주택지구를 둘러싸고 있다 보니 외부의 대로를 왕래하는 도시민들에게, 영구임대주택의 광경은 자신이 ‘영구임대단지’라는 사실을 숨긴다. 피자헛, 아웃백스테이크, VIPS, 대형 수산회 전문점 등 각종 외식코스가 남쪽 공항로를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북쪽 양천길에는 등촌자동차종합시장, SBS 공개홀 등이 영구임대단지의 노출을 철저히 차단한다.5)

이 대로들을 다니면 상업지역 너머로 영구임대아파트들이 ‘아련하게만’ 보인다. 이렇게 짜인 시각화 체계는 외부인들에게 8평이라는 자신의 정체를 결코 밝히지 않고, 오히려 20평이라는 허상으로 자신을 드러낸다. 이런 식으로 착시현상이 발발하는 순간, 외부의 시민들은 서울이라는 도시에 더 이상의 빈민은 없는 것처럼 착각하게 된다(혹은 빈민에 대한 사고를 유보하게 된다). 도시빈민들에 대한 공간적 구획 전략은 이렇게 실재하는 사회적 관계를 은폐하는 기능으로 코드화되어 있다.

문제는 이러한 체계가 단순히 빈민의 존재를 은폐하는 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내부인의 입장에서 이러한 효과는 역설적이게도 도시빈민 관리전략 자체에 대한 인지가능성을 떨어뜨린다. 물론 이 지역에 대해서 전문적 지식을 가진 경우라면, 이곳의 거주민 중 8할이 빈민 출신이고 2할 정도가 저소득 주택청약자라는 배경지식을 통해, 등촌3동 지역이 현대판 빈민촌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이곳의 성격은 외부인은 물론이고 내부인조차도 인지하기가 쉽지 않다.

내부인들이 이 문제의 심각성을 절감하지 못하는 이유는 이 지역의 도시공간 ‘게토화’가 이중적인 의미, 즉 도시빈민 존재의 은폐와 관리전략의 은폐라는 측면에서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분명 1990년대 이전에 있었던 빈민지역의 게토화는 현재처럼 고도화된 기호체계를 동반하지는 않았다. 반면 사례지역인 등촌3동 단지는 주거환경의 개선이라는 ‘당근’과 더불어, 다른 도시공간에 비해 차별적이지 않게끔 공간화된 스펙터클을 동반한다. 도시빈민을 집단적으로 수용하고 비가시화하는 것, 즉 은폐하고 재집중시키는 것(남원석, 2003a)이야말로 등촌3동 영구임대아파트 단지의 공간적 성격의 핵심이다. 이곳에 은폐되어 있는 것은 빈민들의 존재뿐만 아니라, 이들의 존재를 은폐하게 만드는 도시빈민 관리전략이기도 하다는 점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2) 코드2: 사회적 혼합


빈곤을 엄격히 격리수용한 흔적에도 불구하고, 행위자들의 입장에서는 일종의 인식적 한계가 나타날 수밖에 없다. 원인은 공간구획의 문제가 바로 기호체계의 문제인 데에 있다. 기호의 차원은 하나의 탈인격적 과정이며 탈맥락화의 과정으로서, 사회구조적인 실재관계를 자연화하는 과정이다. 단지 내부의 거주민들 입장에서 말하자면, 이렇게 은폐되어 있는 지역-공간은 일종의 게토로서 집약된다. 격리된 공간으로서 이곳의 특수성은 세 가지 수준으로 요약된다. ①8평이라는 협소한 규모의 실내공간, ②(이전의 무허가정착지와는 다른) 아파트로 모듈화된 콘크리트 건물, ③단지 전체를 감싸고 있는 상업지구 등이다. 이러한 장치들은 거주민들을 사회와 격리시키는 일종의 다중적인 ‘장벽’으로서 기능한다. 다시금 강조하자면, 등촌3동 지역은 분명 게토화되어 있다.

실제로 영구임대아파트를 은폐하고 거주자를 관리하는 전략은 단순한 격리 수용 차원을 넘어선다. 이곳이 마치 게토와 흡사하다고 했지만, 여기에는 빈민만이 수용된 게 아니라는 점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즉, 거대한 띠로 둘려 있는 이 ‘섬’에는 빈민들뿐만 아니라 다른 계층의 사람들도 분명히 존재한다. 등촌3동에는 부영?진로?대림?동성 등 민영건설기업의 이름이 접두어로 붙어 있는 중산층 아파트 단지들이 산포되어 있다. 이런 내부 구도 속에서 영구임대아파트 사람들의 일상이 펼쳐진다. 이 지역이 외부인들에게 빈민거주 지역으로 인식되지 못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종종 중산층 거주 지역으로 오해받기까지 한다). 실제로 단지 전체에는 중산층들이 거주하고 있고, 아파트단지 주변 환경 역시 중산층들의 수준에 맞게 형성되어 있다. 까르푸, E-마트, 그랜드마트, 홈플러스 등 대형유통할인점이 네 곳이나 자리하고 있고, 주로 자가용을 가지고 드나들게 되어 있는 외식업소들이 줄지어 있다.


<그림 3)> 전면의 중산층아파트 뒤로 영구임대아파트. ‘사회혼합’ 전략은 이 지역을 단순한 게토로만 판단하지 못하게 한다.


영구임대단지의 도시빈민들의 주거환경에는 바로 이러한 목록들이 첨부되어야만 한다. 이 이유 때문에 이곳의 계급/계층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사회적 현상에 대한 판독이 어려워진다. 이러한 결과를 계층의 사회적 혼합 전략6)의 효과라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적 혼합 전략은 오늘날 도시빈민 문제에 있어 그 판단이 지극히 어려운 문제 중의 하나이다. 사회적 혼합은 사회적 격리를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 도입된 맥락 때문에 무조건적으로 비판 편향을 가질 수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통합의 논리에 비판의 소지가 있다는 점에서 비판적 인식을 포기할 수는 없다. 실제로도 이 계층혼합 전략에 대해서는 사회적으로도 평가가 엇갈리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의 연구들을 보더라도, 혼합단지에서 입주민간 접촉기회의 증대로 인해 주민간의 갈등이 유발된다는 결과가 있는 한편(서수정/김주진/정경일, 2004), 혼합구성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단지 유형에서 사회적 배제 양상이 적다는 결과도 있었다(김위정, 2003). 이렇게 분석 결과가 다르게 측정되는 가운데, 사회통합론에 대한 일종의 가치판단 문제가 개입하게 되면 그 이해가 점점 복잡해질 수밖에 없다.

계층혼합의 전략이 엇갈리는 결과로 도출된다는 사실은 혼합구성의 원리가 빈곤층 거주민들에 대한 사회적 배제를 해소할 수 있는 유일한 근거가 아니라는 점을 방증한다. 게다가 사회적 혼합의 예기치 않은 결과로 인해, 중하층 무주택 서민들만 구제하고 역설적으로 도시빈민들의 주거공간을 감소시키고 ‘계층역진’ 현상을 부추기고 있는 경향은 재론의 여지를 남기고 있다(남원석, 2003b). 또한 현재의 국민임대주택정책이 국민주택기금 부도율을 보전하려는 목적으로 사회적 혼합 원리를 확대시키고 있는 현실(국민임대주택건설지원단, 2004)에 대해서도 재고할 필요가 있다.

물론 사회적 혼합의 원리가 탈맥락화, 탈인격화, 자연화의 장치로 작용하고 있다고 해서 무조건적인 거부반응을 앞세우는 것은 또 다른 억견일 수 있다. 혼합의 다양한 양식에 따라 그 이해의 폭이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공공임대주택의 계층혼합 유형은 ①임대주택만으로 구성된 ‘독립형’, ②단지 내 도로 혹은 대지로 분리되어 임대주택과 분양주택이 공존하는 ‘인접형’, ③하나의 단지 내에 임대주택과 분양주택이 혼합배치된 ‘단지-내 혼합형’, ④같은 건물 내에 임대주택과 분양주택이 혼합되어 있는 ‘동-내 혼합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혼합전략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배제의 수준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은 50년 공공임대주택의 ‘동-내 혼합형’과 최근에 건설되고 있는 국민임대주택의 경우에만 국한된다(서수정/김주진/정경일, 2004). 그러나 후자의 국민임대주택의 경우 계층별 혼합구성도가 높은 만큼, 다시 말해 빈민층의 구성비가 떨어지는 만큼, 여기서 관찰되는 사회적 배제의 감소는 계층혼합보다는 오히려 ‘계층역진’ 현상에 그 원인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흥미로운 사실은 (물론 절대빈곤층을 포괄하지는 못하고 있지만) ‘동-내 혼합형’에 있는데, 아파트 한 동에 평수가 각기 다른 집들이 설계되어 있어서 낙인 등과 같은 사회적 배제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었다는 점이다. 이 부분은 현재 공공임대주택정책에서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층별로, 혹은 라인별로 주거공간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사회적 경계(공간적 정체성)의 발견을 교란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최근에는 도시 곳곳의 다세대주택이나 연립주택을 매입하여 무주택중하층 이하 시민들에게 임대해주는 방식을 채택한 ‘매입임대주택정책’7)도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정책들은 주거공간의 설계에 있어 ‘근대적 모듈화’를 최소화한 것으로서 계층혼합의 기호체계에 새로운 국면을 보여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로써 빈민들을 둘러싼 사회공간의 관리전략은 사회적 격리와 사회적 혼합이라는 다소 모순적인 원리로 요약된다. 앞서 말했듯이 이러한 원리들은 단순히 공간적인 차원에서만 머무르는 단편적인 현상이 아니다. 공간적인 규제는 사회경제적인 모순들을 흡수하는 한편, 문화적인 환경을 새롭게 창출한다. 사회경제적인 차별이 사회-공간적인 장애로 이어지고, 이러한 장애가 사회문화적인 특수한 맥락들을 주조해내기 때문이다.

이러한 공간 구획 체계는 공간적 고립감(사회적 격리)과 계층간 위화감(사회적 혼합)의 가능성을 동시에 품고 있다. 여기서 사례 지역의 공간 배치 전략(격리와 혼합)을 통해 몇 가지 중간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첫째, 게토적인 기호체계의 구성으로 사회제도가 개인을 배제하는 측면을 가지고 있다. 둘째, 공간적 격리감을 해소하기 위한 사회적 혼합의 착안으로 외려 계층 간에 직접적인 배제가 나타날 가능성이 잠재해 있다. 이 두 원리는 빈민주거공간의 기호적 지배소로 자리 잡으면서, 우리 사회 계층구조의 모순성을 은폐하고 있다. 본 연구의 맥락에서 볼 때, 주거공간의 이러한 양식들은 이 지역 도시빈민들의 사회-공간적 정체성을 공고하게 하고(물리적 공간 격리의 결과), 정체성을 둘러싼 사회적 문제를 촉진시킬 가능성이 다분하다고 할 수 있다(계층간의 사회적 혼합의 결과).



4. 사회문화적 배제의 맥락들


이제 남은 문제는 앞서 살핀 공간적 차이의 생산이 문화적 배제와 어떻게 연결되느냐 하는 것이다. 공간적으로 계층혼합의 유형상 ‘인접형’에 해당하는 사례 지역의 경우, 상이한 두 계층 집단이 작은 도로 하나를 마주하여 공존하고 있다. 이로써 중산층 아파트 단지와 영구임대아파트 단지라는 엄격한 사회적 경계가 형성된다. 경계의 형성은 정체성의 명명(naming) 과정을 비롯한 상징적 상호작용 등을 통해 문화적 배제를 구조화한다. 또한 계층 수준과 소득 분포가 다양함으로 인해서 예기치 않은 문화적 효과들이 나타나기도 한다. 기본적으로 사회문화적인 문제들이 소비의 문제와 직결되어 있다고 전제할 때, 소비 지출 양식이 특정한 소비문화와 결부되어 복잡한 사회적 현상을 야기할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 절에서는 이와 같은 착안에 기대어 지난 5월 사례 지역의 주민 16명을 대상으로 ‘반(半)구조화된 인터뷰’ 방법으로 사례 분석을 시도했다.8)한 사람들은 가난의 지역이 엄존한다는 사실을 알기 힘들게 된다. 이와 같이 이미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는 것은 어떤 대상에 대해 특정한 방식으로 이해하게끔 유도한다. 나아가, 일반적으로 사회적인 것과 상징적인 것의 재현은 불평등이 본질적인 것처럼 묘사하는 경향이 있다(Woodward, 1997). 비본질적인 이해관계의 맥락이 집단적인 단일성을 구성하면서 마치 본질적인 것처럼 외화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대체적으로 명명의 관계를 통해 상징적인 권력의 양식으로 발전한다(Bourdieu, 1991). 이러한 정치학적 함의를 파헤치기 위해서라도, 정체성과 재현을 둘러싼 언어와 담론의 문제(Woodward, 1997). 비본질적인 이해관계의 맥락이 집단적인 단일성을 구성하면서 마치 본질적인 것처럼 외화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대체적으로 명명의 관계를 통해 상징적인 권력의 양식으로 발전한다(Bourdieu, 1991). 이러한 정치학적 함의를 파

입주 기간별로는 5년 미만인 세대가 3가구(18.8%)였고, 5~10년이 4가구(25%)였으며, 10년 이상이 전체의 절반을 상회하는 9가구(56.3%)였다. 영구임대주택 가구들에게 일종의 사회적 낙인으로 통용되는 일탈행위에 있어서도 흥미로운 분포가 있었다. 인터뷰 당시 가족구성원의 일탈 행위를 경험하고 있는 세대주는 모두 5명이었다. 그 중에 한부모 가정에서 3세대가 집중돼 있었고, 특이하게는 소년소녀가장이 세대주로 있는 가구에도 1명이 포함돼 있었다. 이들의 일탈 유형은 대다수 가출로 요약됐고, 청약저축세대 중에는 노숙으로 나가 있는 세대주의 남편도 있었다.

이들 세대가 노동시장에 참여하고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는 근로소득 활동에 있어서는, 14명 중 무직이 7명, 자영업 2명, 공공근로 2명, 택시운전 1명, 가정관리 일용직 2명으로 집계됐다. 또한 소득원이 2명 있는 가구가 5세대로(장애인 2세대, 청약 2세대, 한부모 1세대)로 이들 가구의 경우는 경제활동이 대체적으로 원활한 편이었다. 한편 한부모 가정 중 [사례11]의 세대는 아들이 성년이 되어, 법적으로 더 이상 한부모 가정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었으며 그에 따라 차상위계층으로 편입되어 임대보증금과 임대료 납입에 불리함을 겪고 있었다. 또한 근로소득자가 아예 없는 가구는 총 8세대(소년소녀가장 2세대, 노인 3세대, 장애인 1세대, 한부모 1세대, 청약 1세대)였는데, 이들은 대체적으로 제한적인 사회복지수급혜택을 받으면서 경제적 궁핍함을 호소하고 있었다.

종합해보면, 이들 세대들은 기본적으로 취약한 노동생활을 하고 있을 것이란 추정을 해볼 수 있다. 세대주들이 대개의 경우, 무직이거나 불안정한 형태로 생계를 책임지고 있다. 또한 아예 소득원천이 없는 세대도 5가구였다. 일시적 실업상태에 처한 [사례10]을 제외하더라도, 전체의 25%에 해당하는 4가구나 된다. 게다가 전체적으로 학력수준이 낮은 점도 두드러진다. 이러한 요인들은 고용기회에서의 불평등은 물론, 소득수준의 차이와 (이에 연쇄적으로) 소비수준의 차이를 야기하고 있다.


(1) 맥락1: 사회적 경계와 상징권력


전술했듯이 이곳의 정식 명칭 자체가 ‘등촌동 영구임대아파트’가 아니라 ‘등촌주공아파트’이기 때문에, 이곳 사람들과 문화적 접변 경험을 이루지 못한 사람들은 가난의 지역이 엄존한다는 사실을 알기 힘들게 된다. 이와 같이 이미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는 것은 어떤 대상에 대해 특정한 방식으로 이해하게끔 유도한다. 나아가, 일반적으로 사회적인 것과 상징적인 것의 재현은 불평등이 본질적인 것처럼 묘사하는 경향이 있다(Woodward, 1997). 비본질적인 이해관계의 맥락이 집단적인 단일성을 구성하면서 마치 본질적인 것처럼 외화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대체적으로 명명의 관계를 통해 상징적인 권력의 양식으로 발전한다(Bourdieu, 1991). 이러한 정치학적 함의를 파헤치기 위해서라도, 정체성과 재현을 둘러싼 언어와 담론의 문제를 규명하는 것은 매우 요긴한 작업이다.

바로 이 지점에서 공공임대주택의 사회-공간적 정체성의 기제가 작동한다. 정체성의 문제는 그 자체로 심오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접근하기 어려운 부분이지만, 일반적으로는 성별, 계급, 인종, 민족과 같은 것이 거론된다. 여기에 더하여 대상의 치밀한 등급화와 구상화를 통해 학력, 직업, 장애, 연령, 재산, 주택, 건강상태 등에도 가치판단의 잣대를 부여한다. 가령, 영구임대아파트 주민이라고 하는 사회적인 위치는 그 자체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의도와는 상관없는 사회문화적 의미들을 산출한다. 영구임대 주민이라는 사회적 위치는 이제 본질적으로 이들이 빈민일 수밖에 없는 사회적 약호로서 작동하며, 상류-중상-중하-하류의 치밀한 사회경제적 등급체계 속에서 하층민일 수밖에 없는 불평등 구조로 고착화된다.


[사례1] 실버채용박람회인가에 간 적이 있다. 병적을 묻기에, 당뇨가 좀 심하다고 하니까. 나가라고 하더라.

[사례5] (산업재해와 관련하여) 원래도 지체장애가 있었지만, 지들이 내 손가락을 자르고 쫓아낼 줄 누가 알았겠나. 지들도 인간이니까 겁이 났겠지. 나중에 직장동료가 그러던데, 내가 아파서 소리 지른 걸 가지고, ‘꾸역꾸역’ 댔다고….

[사례11] 드라마도 이런 드라마가 없지. 배운 게 없으니 평생 남의 집 식모살이하면서 살아왔는데. 보따리 장사, 포장마차, 도떼기 시장, 안 굴러본 데가 없다.

[사례14] 일찌감치 알아서 (직장에서) 관뒀다. 나 아픈 걸 가지고 괜히 남한테 피해줄 필요 없다.


장애와 질병, 무학은 이들을 사회적으로 차단하고, 역으로는 스스로를 폐쇄하도록 결정하는 중요한 기제 중 하나이다. 노동력을 팔지 않으면 생존할 수 없는 노동사회에서 시장 자체에 접근할 수 없다는 것은 사회적 경계가 ‘장애화’한 결과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들 개인을 구성하는 정체성의 목록들은 단순히 사회 일반적인 문제에 그치지 않는다. 이들은 평생을 하위직 노동을 비롯한 주변부에서 맴돈 것도 모자라, 이곳 단지 내부에서조차 사회문화적 장애를 경험하게 된다.

정체성의 영역에서 정말 문제가 심각한 것은 앞 절에서 추측했던 것처럼, 사회적 혼합의 원리에 따라 중산층들과 이들 빈곤층이 접촉을 하면서부터다. 이 문제는 이 지역의 계층간 문제를 압축하고 있는 청소년들을 통해 뚜렷하게 드러난다. 그동안 중고등 청소년들 사이에서 부르디외가 말한 구별짓기는 흔히 ‘범생이’와 ‘날라리’로 이분화된 것으로 알려져 왔다(서동진, 2000). 그런데 이 구도가 영구임대아파트단지를 둘러싼 청소년들의 일상에서는 초점이 살짝 빗나간다. 물론 이 지역에도 통칭 범생이와 날라리가 존재한다. 그런데 여기에 또 다른 항이 첨가된다. 난개발 시대에 부자 동네와 가난한 동네 사이의 구분이 ‘아랫동네’와 ‘윗동네’로 나뉘었듯이, 중산층 청소년과 영구임대아파트 청소년 사이의 위계적인 구도가 엄존하는 것이다. 그래서 영구임대주택 청소년들은 중산층 또래들을 보통 ‘범생이’라 부르고, 중산층 청소년들은 영구임대주택 또래들을 ‘영구’로 부른다(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2; 김성윤, 2003).

‘영구’임대아파트라는 공간적 경계가 ‘영구’라는 정체성의 사회문화적 장애로 재현되는 것은 상징권력에 근거한 문화적 배제, 즉 상징폭력으로 이어진다. 우리 사회에서 ‘영구’라는 말이 적어도 바보라는 의미를 연상하는 한, 이러한 현상은 언어적 폭력일 수밖에 없다. 여기에 대항해 영구임대주택 청소년들이 또래의 중산층 청소년들에게 비아냥을 섞은 ‘범생이’란 호칭을 붙여 대항한다 하더라도,9) 상징체계의 논리에서 영구는 범생이보다 하위 영역에 속할 수밖에 없다.

이런 식의 갈등은 부모세대들에게서도 유사하게 나타난다.10) 실제로 ‘수준이 떨어지는’ 영구임대주택 청소년들의 수가 적은 학교에 자녀를 보내려고, 중산층 학부모들이 교육청에 집단 항의해서 학군을 조정한 일이 있었다. 사회문화적 구별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다보니 교육 공간 내에서 범생이와 영구 사이의 심리적 갈등이 첨예한 편이고, 자연히 중산층 부모들은 자기 자녀들이 ‘영구’들에게 물들지 않도록 위장전입 등 갖은 수단을 쓰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현상은 도시빈민들이 사회적으로 격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입한 사회적 혼합의 전략이 사실상 실패의 측면이 강하다는 점을 증명한다. 계층간 사회적 혼합에도 불구하고, 중산층들은 도시빈민들과 자신들을 끊임없이 구별지으려 하며, ‘영구’들과 어울리지 않도록 사회제도적 격리를 희망하고 있는 것이다. 간혹 청소년들의 경우 일탈행위 등을 통해 상대적으로 얌전한 중산층들에게 ‘날라리’로서의 대항권력을 구축해보기도 하지만(김성윤, 2003), 이는 상상적인 차원에서만 문제를 망각할 수 있을 뿐, 사회적 혼합으로 인한 계층간 위화감을 근본적으로 해소하지는 못한다.


(2) 맥락2: 소비라는 사회적 마술


사례 지역의 세대들에게 배제의 문제를 논하는 데 있어 의미론적이고 상징적인 차원의 문제는 더욱 확대될 필요가 있다. 특히 소비의 영역에 있어 이 문제가 첨예해질 수 있다. 실제로 많은 사회이론가들은 소비의 문제를 정체성의 구성이라는 맥락에서 이해한다(Miller, 1997). 이는 소비와 생산이라는 통념이 가리키곤 하는 물질 생산양식으로부터 의미 생산양식으로 그 외연을 확장해보자는 의도이다. 하나의 상품을 소비하는 것은 광고나 그 밖의 사회적 담론들에 의해 상품에 이미 집약되어 있는 의미를 소비하는 행위이다. 즉 우리가 상품을 소비할 때에는 의미가 코드화된 상품을 소비하는 것이며, 따라서 특정한 시공간에 압축분할되어 있는 의미를 소비하는 것이다. 가라타니 고진(柄谷行人, 1998)의 말처럼 더 이상 “경제는 하부구조와 같은 것이 아니다.” 이는 빈곤을 연구할 때에도 마찬가지다. 확실히 물질 생산양식에서 의미의 생산양식으로 영역을 이동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나 소비의 개인적 계기와 사회적 맥락을 파악하는 데 있어, 이러한 관점은 매우 유용하다.

소비의 문제에서 이들 도시빈민들을 본다는 것은 소비주체가 형성될 수 있게끔 하는 조건들에 대해서도 주목하게 한다. 우선은 경제적으로 소득수준과의 상관관계 속에서 소비문제를 봐야 한다. 그리고 문화적인 조건으로서 소비를 촉진시키는 사회적인 관계들을 통해 이들의 소비문화를 엿볼 필요가 있다. 인터뷰 대상자들의 가구당 평균소득은 95만원이고 평균지출은 82만5천원이다. 이런 상황에서 영구임대주택에는 두 가지 사회문화적 반응형식이 성립한다. 소비에 대한 박탈감과 이러한 결핍을 메우고자 하는 소비적 욕망이다. 상대적 박탈의 문제는 바로 상대적 빈곤의 문제이기도 하다. 신명호(2004)의 지적처럼, 모두가 핸드폰을 가지고 있는 세상에서 핸드폰이 없어 사회문화적 곤란함을 경험하고 있다면, 이는 절대적 빈곤의 문제에 빗대어 ‘배부른’ 이야기일 수만은 없다. 결핍의 절박함은 절대빈곤의 문제에 결코 뒤지지 않는 것이다.


[사례6] 아들놈이 하도 성화를 해대서 작년엔가 컴퓨터를 할부로 구입했다. 한동안 할부금 때문에 사실 조금 힘들었다. 그래도 뭐 어떤가. 자식 이기는 부모 없고…. 게임만 하는 건 아닌지 좀 걱정했었는데, 과제도 곧잘 하고 그런다. 공부도 잘 하고 그러는데, 자식 기죽일 수는 없다.

[사례9] 그릇…, 그릇 같은 건 좋아하지. 예전에 남편 있을 때는 찬장 가득히 그릇이 있었다. 오래됐어도 잘 안 버린다. 옛날 생각도 나고…. 그래도 재작년에 곗돈 타서 그릇 세트 산 이후로는 별로 그쪽으로는 낭비 안한다. 우리 애가 ‘우리 형편에 그러면 되냐’고 핀잔도 줬었고.


‘자식 기줄 일 수’ 없다는 [사례6]의 말처럼, 이러한 일상들이 바로 상대적 빈곤과 박탈감의 정서를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사례9]는 빈곤에 빠지기 전인 ‘옛날’ 생각으로 소비의 박탈감을 해소하고 있으며, [사례12]의 경우에도 사업이 도산하기 전의 원래 사회적 지위로 돌아가기 위해 교육비만큼은 무리를 해서라도 절대로 아끼지 않는 편이었다. 그 누구와도 마찬가지로 도시빈민들은 자신의 지출규모가 줄어드는 것을 반기지 않는다. 그것은 교육비를 포함해 의료비나 주거비를 해결하지 못하는 데서 오는 박탈감의 해소 차원이기도 하며, 도시빈민이라는 자신의 계층적 정체성을 상상적으로나마 극복하고자 하는 기호의 소비양식이기도 하다.

반면 이렇게 무리한 소비는 신용카드나 할부구입 등을 통해 즉각적인 대가를 미루더라도 언젠가는 행위자를 지불결제의 순간에 맞닥뜨리게 한다. 이는 결국 노동에 대한 절실한 요구를 낳는다. 지갑 속에서 꺼낼 화폐를 가지기 위해서는 일자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시공간의 배제 시스템은 생산의 현장에서 이들을 ‘절실하게’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결국 상대적 박탈이라는 소비 영역에서의 사회문화적 배제가 불안정 노동이라는 생산 영역에서의 배제와 연동하고 있다는 것만을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한편으로는, 이들의 소비욕구를 자극시키는 여타의 사회적 조건들에 대해서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곳으로 이사 온 사람들 대부분은 열심히 일하면 빈민의 ‘신분’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고 있다. 생활보호대상자 중에서도 소년소녀 가장, 저소득 모자가정, 철거세입자들, 저소득 청약저축 가입자 등이 바로 여기에 속한다. 이들은 구원과 행복의 이미지를 잔뜩 품고 있는 사람들이다. 그러므로 당연히 중산층으로의 진입을 희망한다. 그리고 여기에 맞춰 개선된 주거환경, 24시간 편의점, 그랜드마트?E-마트?까르푸, 그리고 언젠가 자신이 진입할 것이라고 희망하는 중대형 민영 아파트들이 시각화되어 상존한다.


[사례1] 5년전쯤 그랜드마트가 생기면서는 가끔 그리로 가긴 한다. 가끔 동네에 장(場) 같은 게 서기는 하는데, 그곳 물건들은 채소나 쌀 같은 빼면 별로 볼 게 없다.

[사례10] 싸고 깨끗하고 그러니까 자주 간다. 특히 일하다가 집에 오는 길에 있으니까 편한 것 같다. 들러서 그냥 돌아오는 경우도 있지만… (습관적으로 그런가 - 면접자) … 뭐, 그 정도는 아니고, 아주 특별하게 싼 것도 아닌데, 뭐.


삶의 조건이 바뀌고 있는데, 이것을 따르지 않는 것 자체가 이들에게는 부자연스러운 일일지 모른다. 독거노인 등 정말 빈곤에서 벗어나기 힘든 경우와 달리, 이들 중 상당수는 사회적 노동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곧바로 구매력으로 복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영구임대주택 19만여 호에 거주하는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중 소득증가 등으로 입주자격을 상실한 경우가 3분의 1을 넘는 6만3천여세대에 달한다고 한다(인천의 경우엔 절반 이상이라는 보도도 있었다: 서울신문, 2005). 물론 많은 수의 거주자들은 빈곤을 세습하면서 절대빈곤에 시달리고 있지만, 영구임대단지 안에는 이미 소비자본주의의 구성원으로서 활동할 수 있는 사람들이 그만큼 많다는 방증이다.

따라서 이들 영구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도시빈민의 소비욕구를 자극하는 사회문화적 조건들로서, 소비공간화하고 있는 공간적 배치와 이를 소비할 수 있도록 인적 기반을 이루는 사회적 혼합의 전략을 지적할 수 있다. 소비의 장소들은 기본적으로 이를 충당할 만한 구매력이 없으면 존재할 수 없다. 그런데 등촌3동 단지를 구성하고 있는 사회적 혼합의 원리는 사회적 격리를 해소하는 것 외에도 이러한 편제를 가능하게끔 하는 요소로서도 작동한다. 그런 사이에 도시빈민들은 그 중산층들을 경멸하면서도 언젠가는 닮아야 하는 애증의 심리로 이 지역의 소비체제에 편입된다.

실제로 이 지역의 청소년들은 일탈에 빠지거나 ‘범생이’가 되려고 하는 두 유형으로 분류되는데, 특히 후자의 경우 중산층 ‘범생이’들과 어울리면서 자기 용돈보다 더 많은 돈을 쓰곤 하는 경향이 있다.11) 이런 식의 초과지출 경향은 해당하는 개인을 더욱 더 범생이-지향적으로 만든다. 지출수준의 걸 맞는 상위 계층을 희망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공공임대주택단지의 빈민들이 예전의 무허가빈민촌의 그들과 다른 점이 바로 여기에 있다. 영구임대주택으로 대량 이주한 빈민들이 보이는 라이프스타일은, 무허가정착지 시절의 빈민문화보다는 오히려 중산층의 것과 비슷하다. 연탄이 아니라 중앙난방식 보일러를 때고, “아들딸의 방에 들어가기 위해서 문을 벌컥 여는 것이 아니라 노크를(사례10)” 해야 하고, 더 이상은 재래시장에 가는 게 아니라 인근 그랜드마트 같은 유통할인점에서 장을 본다(사례1 등 대부분).

영구임대주택에서의 이러한 삶의 방식은 거주민들을 중산층으로서의 행위지향을 품게끔 한다. 이는 분명 빈민문화의 새로운 국면이다. 현재의 자기보다 높은 계층과 직접적으로 대면하고 있기 때문에 자본-노동의 갈등이 아니라, 중산층-빈민의 ‘애증’이 지배하는 빈민문화로 재편된 것이다. 한편으로는 신자유주의, 후기산업자본주의의 국면이 강요하는 경제제일주의 이데올로기가 중산층뿐만 아니라 이들 도시빈민들에게까지 전면화됐다는 설명도 가능할 것이다. 이런 판도 속에서 영구임대주택단지의 거주민들은 문화적 우세종으로서, 혹은 환영(fantasmagories)으로서의 ‘범생이’를 지향하며 지내고 있다.

주목할 것은 이런 국면으로 인해 계급관계가 달라진다거나 계층간의 이동이 일어나는 등의 일은 거의 불가능하다는 사실이다. 물론 일부 주민들의 경우 노동자-빈민에서 다른 계층으로의 신분이동이 자유로워질 수는 있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일부일 뿐이고, 대다수는 높아진 생활수준과 임대보증금을 감당하지 못한 채, 결국 빈곤의 늪으로 빠지는 것이 보통이다. 예전에 살던 곳에서보다는 중산층이 한없이 가까워 보이긴 하지만, 마치 ‘신기루’처럼 이곳 사람들은 갈수록 강도 높은 상대적 빈곤과 박탈을 경험하게 된다. 그리고 이 결핍을 메우려 취했던 소비와 실제소득 사이의 간극에서, 이들은 일자리 없는 시대에 ‘허드렛일’이라도 감내해야 하는 이중, 삼중의 사회적 모순에 빠지고 만다.

더 이상 빈민들이 없는 것처럼 비가시화하는 도시계획, 그 안에서 이들을 교란하는 사회적 혼합의 원리, 그리고 소득수준을 넘어설 만큼의 과다지출을 유도하는 스펙터클의 배치, 이러한 흐름들을 간과한다는 것은 주거환경을 개선해준 대가로 이들 도시빈민을 다시 한 번 절대빈곤의 악순환으로 빠뜨리는 일일지 모른다.



5. 결론: 사회적 배제와 문화이론의 접합


이 글의 이론적인 목적은 최근 논의되고 있는 ‘사회적 배제’의 개념에 문화이론적 접근을 접목하는 것이었다. 또한 경험적으로는 이러한 접합 시도가 과연 타당한 것인지에 대해 사례 연구로 고찰하여 문화적 차원에서의 배제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했다. 여기서 본 연구의 중요한 맥락을 형성하는 것은 배제의 양식들을 물질적인 차원에서만이 아니라, 상징과 기호의 의미화실천이라는 문화적인 차원에서 본다는 점이다.

공공임대주택 빈민들은 사회적 배제의 알려진 보고 외에도 문화적으로 여러 굴절을 경험하고 있다. 이들이 겪고 있는 문화적 배제의 항목들을 살펴보면, 일차적으로는 게토적 구획을 통한 공간적 배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물리적인 공간 격리는 사회계급간에 사회-공간적 경계를 형성한다. 사례 연구를 통해 볼 때, 여기서 물리-공간의 사회-공간으로의 전화는 이들 도시빈민들에게 사회-공간적 장애로서 작동한다는 함의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경계의 확정은 상징적 체계를 동반하면서 ‘영구’와 ‘범생이’ 같은 상징권력 혹은 상징폭력의 문제로 전화하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문화적 배제 상황 속에서 도시빈민들은 상징권력의 관계 속에서 여러 가지 대항적 시도를 수행하기도 한다. 가령 중산층들에게 ‘대항-명명’(counter-naming) 행동으로 반응한다든지, 소비를 통해 상징권력의 결핍을 메우려 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문화적 저항들은 엄격한 문화적 위계에 가로 막혀 효과를 채 보지 못하기 일쑤이고(담론 행위), 고용불평등 상황 속에서 사회경제적 고립을 자초하기도 한다(소비 행위).

이러한 연구 결과는 최종적으로 문화적 배제 메커니즘의 완결성을 보여주는 것처럼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판단은 어디까지나 유보적이어야 한다. 사례 연구로서 가지는 경험적 차원의 문제는 연구자의 논의가 결코 일반화될 수 없다는 사실을 말해줄 것이다. 다만, 사회-공간 내에서 경계화된 정체성의 구성 문제를 문화론적 함의에서 다룬다는 점에서, 최근에 연구되고 있는 사회적 배제 논의에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은 있을 것이다. 사회적 배제가 빈곤에 대한 논의를 풍성하게 했던 것처럼, 본 연구의 문화론적 접근이 이번에는 사회적 배제 논의를 한 차원 고양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참고 문헌


건설교통부. 2003. 「저소득계층을 위한 주거복지 지원방안」. 건설교통부.

건설교통부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03. 「대도시내 소규모 공공임대주택 확보 방안」. 건설교통부.

고길섶. 1997. 「문화비평과 진보의 분열들: 90년대 문화비평을 비평한다」. 『문화과학』 13호.

국민임대주택건설지원단. 2004. 「국민임대주택건설등에관한특별조치법 보도자료」.

김성윤. 2003. 「대도시 속의 영구임대아파트 ― 서울 가양동과 등촌동을 중심으로」. 『문화과학』 33호.

김성윤. 2004. 「토목적 근대의 빈민주거정책, 영구임대아파트」. 『2004 주거복지 실현을 위한 온 국민 한마당』. 주거복지연대 창립 3주년 자료집.

김성윤. 2005. 「공공임대주택에 나타난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 서울 등촌3동 영구임대아파트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김위정. 2003. 「공공임대주택 주민들에 대한 사회적 배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남원석. 2003a. 「도시빈민 주거지의 공간적 재편과 함의」, 『문화과학』 39호.

남원석. 2003b. 「공공임대주택 임대료?관리비 체계의 종합적 개편의 필요성과 기본방향」. 『도시와 빈곤』. 65호.

박병현/최선미. 2001. 「사회적 배제와 하층계급의 개념 고찰과 이들 개념들의 한국빈곤정책에의 함의」. 『한국사회복지학』 45호.

서동진. 2000. 「개날라리들의 정다운 합창 : 영턱스클럽」. 『문화읽기 : 삐라에서 사이버문화까지』. 현실문화연구.

서수정/김주진/정경일. 2004. 「임대주택단지의 사회적 배제실태 및 사회통합적 계획방안 연구」, 『주택도시』 83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2. 「서울시 영구임대주택 주민의 생활」. 시정연 2002 특별정책과제 『서울 사회계층과 정책수요』.

서울신문. 2005. 「인천 영구임대주택자 절반 ‘자격미달’」. 10월 16일자.

신명호. 2004. 「한국 사회 빈곤의 새로운 인식」. 『당대비평』 20호.

양은경. 1999. 「1990년대 한국 문화연구의 형성과 권력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동연. 1997. 「의미화 실천, 주체화 양식, 실험공학의 장: 한국 문화연구의생산적 논쟁을 위해」. 『문화과학』 13호.


柄谷行人(가라타니 고진). 1998. 김재희 역. 『은유로서의 건축 ― 언어, 수, 화폐』. 한나래.

Bourdieu, Pierre. 1991. Language and Symbolic Power. 정일준 역. 1995. 『상징폭력과 문화재생산』. 새물결.

Hammer, Bruce. 2001. "The Geography of Residential and Employment Inequality: Workplace and Home Place in Urban Space". Univ. of Wisconsin-Madison. Ph D. dissertation.

Jefferson, Tony. and Stuart Hall (eds.). 1990. Resistance Through Rituals: Youth Subcultures in Post-War Britain. Routledge.

Miller, Daniel. 1997. "Consumption and its Consequences". in Consumption and Everyday Life. London: Sage.

Sibley, David. 1998. "Problematizing Exclusion and Space, Difference and Klowledge". in International Planning Studies. Vol. 3. No. 1.

Wacquant, Loic. 2001. "The Penalisation of Poverty and the rise of Neo-Liberalism". in European Journal on Criminal Policy and Research. 9, 4.

Willis, Paul. 1977. Learning to Labour: How working class kid get working class jobs. 김찬호 외 역. 1989. 『교육현장과 계급재생산』. 민맥.

Woodward, Kathryn. 1997. "Concepts of Identity and Difference". in Identity and Difference. London: Sage.

Posted by 김성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