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ik Olin Wright, Class Analysis, in Class Counts: student edition, Cambridgr Univ. Press, 1997
김성윤/ 2006년 9월 19일/
1. 계급분석 (Class analysis)
- 계급분석이 시도하고자 하는 것, 즉 계급과 모든 종류의 사회현상 사이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 물론 이 책의 분석 중에서 계급은 특수하게 강력한 요소라고 증명되지는 않는다. 계급이 보편적으로 가장 중요하다는 것이 아니라, 충만한(pervasive) 사회적 요인.
- 역사가 이해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자본주의의 동학이 사회주의의 미래를 암시하는 모순들로 놀라게 된다는 아이디어가 맑스주의적 학문의 지적 배경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동안, 대부분의 실제 연구들은 이러한 주장들을 괄호 안에 넣어두고 (대신에) 계급이 사회적 삶의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끼치는 방법에 초점을 둔다. 계급분석은 따라서 계급관계의 원인과 결과를 연구하는 광범위한 의제의 핵심이 된다.
- 물론 맑스주의 계통의 계급분석이 계급을 연구하는 유일한 길은 아니다. 거기에는 베버주의 계통의 계급분석, 계층 계통의 계급분석, 절충주의적인 공통감각(common-sense) 계급분석도 있다. 따라서 특히, 계급분석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계급구조의 개념을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 ‘계급구조’의 개념은 계급분석에서 하나의 요소일 뿐. 다른 개념적 요소들로는 계급형성(집합적으로 조직화된 행위자들로 계급의 형성), 계급투쟁(계급 이해의 실현을 위한 행위자들의 실천) 그리고 계급의식(계급 이익에 대한 행위자들의 이해)이 있다. 계급분석이라는 일은 단순히 계급구조와 그 결과를 이해한다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모든 요소들과 사회적 삶의 다른 측면의 결과들 사이의 상호연결성(interconnections)을 이해하는 것.
- 그럼에도 나는 처음에는 계급구조에 초점을 두는데, 왜냐하면 이렇게 하는 것이 계급분석의 전체적인 논리를 밝히는 데에 개념적으로 중심을 잡아주기 때문. 여기서의 가정은 계급구조의 개념이 ‘형성’, ‘의식’, ‘투쟁’ 등에 붙는 형용사로서의 ‘계급’에 필수적인 내용을 떼어준다는 것. 계급형성은 계급구조 내에서 계급이익을 둘러싸고 조직화된 집합적 행위자의 형성이다. 계급투쟁은 그렇게 계급이익을 아우르면서 집합적으로 조직화된 행위자들 사이의 갈등이다. 계급의식은 계급이익을 공유하는 어느 한 계급 내에 있는 사람들의 이해(the understanding)이다.
- 각각의 경우에서 우리는 다른 개념들이 일일이 열거되기에 앞서 계급구조의 정의를 이미 가지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계급구조의 일관적인 개념을 정교화한다는 것은 계급구조, 계급형성 그리고 계급투쟁 사이의 관계의 만족스러운 이론을 발전시키는 데에 중요한 개념적 선결조건이다.
1.1 쉬무의 우화 (The parable of the shmoo)
순위 | 자본가 계급 | 노동 계급 |
1 | 자본가들만 쉬무를 가진다 | 모두가 쉬무를 가진다 |
2 | 쉬무를 파괴한다 | 노동자들만 쉬무를 가진다 |
3 | 모두가 쉬무를 가진다 | 자본가들만 쉬무를 가진다 |
4 | 노동자들만 쉬무를 가진다 | 쉬무를 파괴한다 |
- 쉬무에 대하여, 적어도 노동자의 물질적 자기-이해는 롤스주의적인 정의 원칙의 명령과 부합한다. 이는 주목할 만한 일치점인데, 왜냐하면 노동자의 덕목, 고양된 의지, 이타주의에 관한 특별한 가정이 아니라 단순히 계급 조건의 매개변수로부터 이것이 유래하기 때문이다. (8)
- 쉬무의 위협 문제 ... 생계형 농민들(subsistence peasants)은 비옥한 토지의 소유관계에서 일종의 유사-쉬무를 가진다. 그들은 생활을 위해 노동을 해야 하는 반면, 자본가들을 위해 일할 필요는 없다. 때와 장소에 따라서 자본가들은 노동력으로 그들을 고용하기 위해 특히 그 땅에 얹혀살고 있는 생계형 농민들의 재량을 감소시키는 계획적인 전략을 채택한다. 생계형 농민들이 세금을 현금으로 지불하기 위해 노동시장에 진입하고 광산에서 일하도록 하게 한 19세기 남아프리카의 화폐화된 집세 적용이 좋은 예이다. 좀 더 일반적으로, 자본가들의 이해는 쉬무와 일부 비슷한 성격을 가지는 사회적 합의와 배치된다. 자본가 계급의 이해는 따라서 보편적으로 보장되는 기본수입이나 지속적으로 낮은 실업률 같은 것들과는 상반된다. 이는 자본주의적 착취가 근본적으로 노동자와 자본가 사이에서 상반되는 이해를 초래한다는 의미를 반영한다. (9)
1.2 착취의 개념 (The concept of exploitation)
- 계급착취는 세 가지 원칙 규준으로 정의된다:
(i) 역-상호의존적 복지 원칙: 착취자의 물질적 복지는 그것이 원인이 되어 피착취자의 물질적 빈곤에 의존한다. 착취자의 복지는 피착취의 비용에 있다.
(ii) 배제 원칙: 원칙1을 유발하는 원인 관계는 중요한 특정 생산자원에 대한 접근과 통제로부터 피착취자를 비대칭적으로 배제하는 것을 수반한다. 전형적으로 이 배제는 특별한 상황에서가 아니라 재산권 형식에서 강제력을 등에 업고 있다.
(iii) 전유 원칙: 2의 배제를 1의 차별적 복지로 변환하는 원인 메커니즘은 적절한 생산자원을 통제하는 자에 의해 피착취자의 노동 결실을 전유하는 것을 수반한다. 이 전유는 또한 종종 ‘잉여 생산물’의 전유로서 언급된다.
- 상황1은 물질적 이해의 적대를 수립. 상황2는 이 적대가 사람들이 생산의 사회적 조직 내에 위치해 있는 방식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확정. 이 규준에서 ‘비대칭적’이라는 표현은 가능한 착취의 영역에서 동등한 이들의 ‘공정한 경쟁’을 배제한다는 의미. 상황3은 상호의존적이고 적대적인 물질적 이해가 일반화됨으로써 특정한 메커니즘을 수립. 착취자의 복지는 피착취자의 ‘산물’에 의존하지, 단순히 피착취자의 빈곤에 그러한 것이 아니다. (이상 10)
- ‘착취’가 아닌 ‘비착취적 경제 억압’ … 억압자의 복지는 단순히 특정 자원 접근으로부터 피억압자를 배제하는 데에 있지, 그들의 노동 산물에 의지하는 것이 아니다. … 착취와 비착취적 억압 사이의 결정적 차이는 착취는 착취 관계에서 피착취자를 ‘필요로’ 한다는 점인데, 이는 착취자가 피착취자의 산물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비착취적 억압의 경우에 억압자는 피억압자가 단지 보이지만 않는다면 행복해진다. (10, 11)
- 여기서 착취의 개념화는 계급관계와 경제적 착취의 특정한 영역 너머로 확장한다. … 이성애주의적 사회에서 여성은 종종 성애적으로 착취당하는 반면, 전형적으로 동성애자들은 성애적으로 억압받는다. (12)
1.3 계급과 착취 (Class and exploitation)
- 계급분석의 맑스주의적 전통 안에서, 계급 분할은 기본적으로 재산 관계와 착취의 고리에 의하여 정의된다. … 자본주의 사회에서 착취의 중심적 형태는 생산수단에 대한 재산권에 기초해 있다. 자본가 … 노동자 … 쁘띠부르주아 … 자본가와 노동자의 권력 관계 때문에, 자본가들은 노동자들로 하여금 생계에 필요한 것 이상으로 생산하게끔 강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노동자들은 자본가가 소유하고 이윤의 형식을 띠는 잉여를 생산한다. (13, 14)
- 자본가와 노동자의 갈등은 단순히 임금수준이 아니라, 임금에 대해 수행하는 노동 산물의 양에 걸쳐 있다. … 따라서 자본가들은 생계의 다양한 전략을 채택하고 노동 산물의 증대를 제어해야 한다. (14)
1.4 계급구조 개념에 복잡성 더하기 (Adding complexities to the concept of class structure)
(1) 고용인 사이의 ‘중간계급’ 문제 (The problem of the "middle class" among employees)
- 만약 계급구조가 계급의식과 계급구성체와 계급갈등을 설명하는 데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면, 고용되는 사람들 안에서의 계급관련 분할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 이것은 ‘중간계급’의 문제이다. 이들은 생산수단을 소유하지 않고 있고 노동시장에 자기 노동력을 팔고 있지만, ‘노동계급’의 일부로는 보이지 않는다. … 이 책의 분석에서 나는 두 가지 속성에 따라서 고용인의 계급을 나눌 것이다. 먼저 생산에서 권위와의 관계를 살피고, 다음으로 기술 혹은 전문성의 소유를 다룰 것이다. (15, 16)
[권위 (Authority)]
- 관리자와 감독자 … 그들은 따라서 내가 말했던 ‘계급관계에서의 모순적 위치’(Wright 1978, 1985를 보라)를 점유한다. 이 표현에서 단순히 ‘이중적’인 게 아니라 ‘모순적’이라고 했는데, 그 계급이해가 자본과 노동의 생래적으로 적대적인 이해를 복합하고 있는 관리직을 배태하고 있기 때문이다. … 관리자에 의한 잉여의 전유라는 덕목에 의해 그들은 일반적으로 착취자처럼 보인다. … 이러한 모호성 때문에, 고소득의 형태로 사회적 잉여의 일부를 전유하게끔 하는 착취의 과정을 볼 때, 관리자를 단순히 ‘특권적’ 위치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보는 게 낫다. (16, 17)
- 이러한 전유가 취하고 있는 특정한 매커니즘을 ‘충성 지대(地貸)’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 관리자는 따라서 지배의 덕목으로써 ‘계급관계에서의 모순적 위치’만을 점하는 것이 아니라, ‘착취 관계에서의 특권적 전유 위치’라고 불릴 수 있는 것도 점하고 있다. 이 두 가지가 이들을 노동계급과 다르게 한다. (17, 18)
[기술과 전문성 (Skill and expertise)]
- 관리자와 마찬가지로, 고도의 기술․전문성을 가진 고용인들은 잠재적으로 착취관계 내에서 특권적인 전유 위치에 있다. 이를 가능케 하는 두 가지 기초적인 메커니즘이 있다. 첫째로, 기술과 전문성은 노동시장에서 종종 드문데, 이는 단순히 부족해서 때문이 아니라 고용조직의 필요를 충족하는 기술의 공급을 늘리는 방법에서 체계적인 장애물들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장애의 중요한 형태가 자격 … ‘기술 지대’ … 둘째로, 기술과 지식의 제어는 종종 숙련 노동자의 노동 산물을 감시하고 통제하기 어렵게 한다. (18)
- 기술과 전문성의 소유는 계급관계에서의 차별적인 위치를 정의하는데, 고용인들에게 행사하는 특수한 종류의 권력 때문이다(기술지대를 얻어내는 노동시장에서의 권력과 충성지대를 얻어내는 생산에서의 권력). 이것은 또한 부르디외(1984)와 다른 이들이 말했던 것처럼, 전문성과 기술 그리고 지식이 다양한 종류의 ‘상징 자본’과 차별적인 라이프스타일과 관련되어 있다는 사례가 될지 모른다. … 이 이론적 해석은 관리자처럼 전문가가 평범한 노동자들과 그들을 구별 짓는 착취관계에서의 특권적 전유 위치를 점유하고 있다는 주장의 여지를 남긴다. (18, 19)
- ‘기술과 전문성’ … 육체적이고 지적인 여러 형태를 취한다. … 중요한 이론적 아이디어는 기술과 전문성이 노동시장과 노동과정에서 사람들의 권력을 증대시키는 ‘노동력에 부여된 자산’을 설계한다는 점이다. (19)
- 기술의 ‘수준’은 따라서 계급관계의 구조에서의 ‘위치’보다는 불평등 구조에서의 ‘지층’을 제시한다. 여기서 제시된 계급분석은 따라서 계급구조의 계급성을 구성하는 사회적 관계의 문제를 계급위치 내의 지층을 일반화하는 과정의 문제와 통합하고자 한다. (19)
[ 이 방식은 … ‘서비스 계급’의 개념을 다뤘던 존 골드소프(John Goldthorpe)의 작업(1982)과 일정 측면 유사하다. 골드소프는 두 가지 종류의 고용관계에서의 구별을 설명한다. … 노동계약 … ‘서비스 관계’ … 후자의 경우, 고용인은 단순히 직업이 아니라 경력구조로 들어간다. (19) 골드소프의 개념적 분석과 여기서 채택된 분석의 중요한 차이는, 첫째로, 골드소프는 서비스계급의 분석을 착취와 적대적 이해의 문제와 연결시키지 않는다는 점이고, 둘째로, 그는 관리의 위치라는 권위적 속성을 지배가 아니라 단순하게 고도화된 책임이라는 말로 다룬다는 점이며, 셋째로, 그는 자본주의적 재산 관계에서 차별적인 위치에도 불구하고 거대 자본가, 고수준 전문가, 상위수준 기업 관리자들을 동일한 계급 위치로 합쳐버린다는 점이다. (20) ]
[중간계급의 계급위치 지도 (A map of middle-class class location)]
그림 1.1 기본적 계급 유형(21) 참조
그림 1.2 정교화된 계급 유형(22) 참조
(2) 불입 노동력이 아닌 사람들 (People not in the paid labor force)
- 아이들 … 은퇴인, 영구 장애인, 학생, 생활보호대상자, 실업자, 전업주부. 이러한 범주의 사람들은 각각 계급구조 분석에 있어 특별한 문제로 괴롭힌다. … 두 가지 폭넓은 범주들 … 간개인적인 관계들(특히 가족 내에서)을 통한 계급구조에 매여 있는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다. … ‘직접적 계급 위치’ … ‘매개된 계급 위치’ … 물론 많은 사람들이 직접적이고 매개적인 계급위치 둘 다를 가지고 있다. … 남편과 아내가 상이한 직접적 계급 위치를 가질 가능성을 만드는데, 따라서 이들 각각은 상이한 직접적이고 매개적인 계급 위치를 가지게 될 것이다. ‘교차 계급 가족’. (21~23)
- ‘하층계급‘ … 구맑스주의의 ‘룸펜프롤레타리아’ 개념 … 이 장의 분석에서, 보다 정밀한 이론적 지위를 지니는 이 개념을 푸는 방식은 착취와 억압의 개념과 연결시키는 것이다. ‘하층계급’은 주어진 계급 체계 안에서 지속적으로 착취당하는 게 아닌, 경제적으로 억압받는 사회적 행위자의 범주로서 정의될 수 있다. (23, 24)
- 현대의 선진 자본주의에서 하층계급의 곤경을 정의하는 주요 근원은 노동력 그 자체이다. … 요는 어떤 사람들은 사실상 생산적으로 팔 수 있을 만한 노동력을 소유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 그 결과, 그들은 지속적으로 착취당하지는 않는다. (24) 그러나 19세기와는 다르게, 도덕적이고 정치적인 강제력이 직접적인 학살은 더 이상 실행 가능한 전략이게끔 하지 않는다. 그 대신에 하층계급이 사는 감옥을 짓고 도시 구역에 빗장을 친다. (25)
(3) 고용인 투자 (Employee investments)
- 고용인으로서의 직접 봉급과 기업에서의 주식 소유 등에서 나오는 세금 … 뒤엣것이 종종 앞엣것을 위축시킨다. 그러나 보다 일반적으로는, 상당히 넓은 스펙트럼의 사람들이 있는데, 어떤 이는 개인 투자를 통해 자본가적 재산으로 고용 소득의 일부를 전환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높은 봉급의 직장을 가지고 있고, 또 어떤 이는 평범한 고용인에 제공되는 주식 소유처럼 다양한 인센티브 체계를 제공하는 기업에서 일하기도 한다. … 잉여 소득을 자본으로 돌리는 능력은 그들 계급 상황의 중요한 부분이 된다. … 개인의 직업계급과 자산계급이 부분적으로 어긋나는 새로운 종류의 ‘모순적 계급 위치’ (25)
(4) 시간성 (Temporality)
- 통계적으로 정의된 관계적 특성에 따른 동일한 노동계급에서 두 가지 특성은, 만일 누군가가 관리직 위치로 승진할 수도 있고 또 누군가는 노동계급 위치의 생활에 머무른다면, 매우 상이한 계급이해를 가지게 될 것이다. … 전형적으로, 계급구조의 시간적 속성에 대한 분석들이 이 문제를 ‘내부’세대적 ‘이동’으로 다룬다. … 계급 위치 그 자체는 시간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 따라서 일반적으로 계급 위치의 시간적 특성은 사람들이 계급 위치에서 일정 정도의 시간적 비결정성을 가지게 됨을 함의한다. … 계급 위치의 시간성 문제는 직접적 계급 위치 뿐만 아니라 매개된 계급 위치에도 적용된다. … 결혼한 여성의 계급 위치 … ‘그림자 계급(shadow class)’ … 결혼 … 이혼 혹은 사별 … 적어도 많은 여성의 매개된 계급 위치에서는 어느 정도 시간적 비결정성이 있다. (26)
== 계급 개념에 복잡성의 이러한 네 가지 원천을 더한다는 것 ― 모순적 계급 위치, 특권화된 착취 관계, 매개된 계급 위치, 직업계급과 자산계급의 불일치, 위치의 시간적 특성 ― …
1.5 맑스주의 계급분석 대(對) 베버주의 계급분석 (Marxist versus Weberian class analysis)
그림 1.3 상이한 경제적 계급에서 사람들이 직면한 레저 대(對) 소비의 역관계(30) 참조
그림 1.4 계급 분석의 세 가지 모형 (31) 참조
1.6 이 책의 경험적 의제들 (The empirical agenda of the book)
계급구조 (Class structure)
계급과 젠더 (Class and gender)
계급구조와 계급의식 (Class structure and class consciousness)
'II-3. 문화와 계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트] 부르디외 계급론에 대한 노트 (1) | 2006.10.24 |
---|---|
[노트] 계급의식, 이데올로기, 계급투표 (0) | 2006.10.18 |
[노트] 풀란차스의 계급론 (0) | 2006.10.18 |
[노트] 『브뤼메르 18일』의 쟁점들 (0) | 2006.09.13 |
[노트] 공산주의 선언의 ''가면'' (0) | 2006.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