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 알뛰세르, 「맑스주의와 인간주의」, 이종영 역, 『맑스를 위하여』, 백의, 2002

김성윤/2006년 5월 8일


과잉결정과 이데올로기


II.


◎ 사회주의와 인간주의의 충돌 : 사회주의적 인간주의라는 말은 충격적인 이론적 불균등성을 내포. 즉, 맑스주의적 관념의 맥락 속에서 ‘사회주의’의 개념은 명백히 과학적 개념인데 반해, ‘인간주의’의 개념은 이데올로기적 개념이기 때문.

◎ 맑스의 인간주의적 시기의 두 단계 : (1) 합리주의적·자유주의적 인간주의 단계(칸트와 피히테의 영향), (2) 포이어바흐의 ‘공동체적’ 인간주의 단계(국가는 본질을 일탈한 것이 아니라, 본질과 실존 사이의 모순. 혁명은 소외된 인간의 본질을 다시 복원시키는 것).


III.


◎ 맑스의 인간주의와의 단절 : 새로운 문제 틀을 택하는 과학적 발견

- 근본적으로 새로운 개념들에 기초한 역사이론과 정치이론의 형성. 사회구성체, 생산력, 생산관계, 상부구조, 이데올로기들, 경제에 의한 최종층위에서의 결정, 다른 수준들에 의한 고유한 결정 등의 개념.

- 모든 철학적 인간주의의 이론적 주장들에 대한 근본적 비판

- 인간주의를 이데올로기로 규정.


◎ 이데올로기의 인식 : 인간주의의 이론적 주장들을 거부하고 이데올로기로서의 그 실천적 기능을 인정하면서 인간주의의 지위를 규정하는 것이 가능해짐.

- 주어진 한 사회 내에서 이데올로기의 가능조건들, 구조, 고유한 논리, 실천적 역할에 대한 인식의 과정이 전개됨. 이데올로기의 필연성의 조건들에 대한 인식. 따라서 이론적 반인간주의는 결코 인간주의의 역사적 실존을 소멸시키지 않는다.


IV.


◎ 이데올로기 : 하나의 주어진 사회 내에서 역사적인 존재와 역할을 부여받은 표상들의 체계. 실천적-사회적 기능이 이론적 기능을 지배하고 있다는 점에서 과학과는 구분됨.

- 모든 사회적 총체성의 유기적 부분을 구성. 인간사회들은 이데올로기를 마치 호흡하는 데 필요불가결한, 역사적 삶에 필요불가결한 요소와 공기인 것처럼 분비. 오로지 이데올로기적인 세계관만이 이데올로기 없는 사회들을 상상할 수 있었고, (이데올로기의 특정한 역사적 형태가 아니라) 이데올로기가 과학에 의해 대체되어 흔적도 안 남고 사라져 버린 세계에 대한 유토피아적 관념을 받아들일 수 있었다.

- 역사적 유물론에서는 이데올로기 없이 존재할 수 있는 꼬뮌주의 사회를 상상 불가. 꼬뮌이 생산의 사회적 조직과 그에 상응하는 이데올로기적 형태들 없이도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은 생각할 수 없음.


◎ 이데올로기와 의식 : 이데올로기는 의식과 무관. 심지어 반성적인 형태 하에서 드러날 때에는 심층적으로 무의식적. 표상들은 인간의 의식을 거치지 않고, 구조물들로서 부과되는 것.

- 사람들은 그들의 행위를 이데올로기를 통하여 그리고 이데올로기에 의하여 체험. 역사를 포함한 세계에 대한 사람들의 ‘체험적’(lived) 관계는 이데올로기를 통과. 이데올로기 그 자체. 이데올로기는 ‘세계’에 대한 사람들의 관계의 표현. 즉 그들의 실재적 존재조건에 대한 그들의 실재적 관계와 그들의 상상적 관계의 통일체. 사람들의 관계를 그 상상적 관계 자체 속에서 강화하거나 변화시키는 것은 실재에 대한 상상의, 그리고 상상에 대한 실재의 과잉결정 속에서.


◎ 지배계급과 지배이데올로기 : 이데올로기를 사용하는 어떤 계급도 이데올로기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따라서 이데올로기의 계급적 기능에 대해 말할 때에는, 지배 이데올로기는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라는 것, 지배이데올로기는 피착취계급을 지배하기 위해서 소용될 뿐만 아니라 지배계급으로 하여금 세계에 대한 자신의 체험적 관계를 실제적이고 정당화된 것으로 받아들이게 하면서 스스로를 지배 계급으로 구성하게 하는 데 소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V.


◎ 인간주의-비인간주의의 쌍 : 『독일 이데올로기』에서 맑스는 인간 본성 또는 인간본질의 이념이 한 쌍의 가치판단, 인간적-비인간적의 쌍을 포함한다. 이것은 모든 인간주의의 숨겨진 원리이며, 인간주의는 이 모순을 살고-견디고-해소하는 방식에 불과함.


◎ 스탈린 시대의 ‘인간철학’

- 사회주의적 인간주의의 테마들은 실재하는 문제들을 지시. 이것의 등장은 역사적 변화를 준비하고 실현할 역사적 조건들 때문. 개인숭배 시기의 어려움, 경제/문화적으로 뒤떨어진 나라의 사회주의 건설에 내재한 어려움. 이데올로기적 호소가 설명해주는 것은 역사적 임무들과 그 조건들 사이의 이러한 현재적 불일치.

- 그러한 문제들이 자주는 아니더라도 종종 소외, 분열, 물신주의, 전체적 인간 등의, 맑스의 청년기에 속하는, 맑스의 인간철학에 속하는 개념들에 의거하여 이론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는 것도 마찬가지로 놀라운 일.

- 인간철학이라는 이데올로기의 호소는 일정한 한도 내에서 이론에의 호소의 대체물로 간주될 수 있다. But, 스탈린 시대의 교조주의, 그리고 기회주의적 제2인터내셔널의 유산. 이데올로기적 무의식의 연산작용들을 내포하고 있고 쁘띠부르주아적 영감의 테마들.

- 역사적 현상인 개인숭배 개념은 맑스의 이론 속에서 찾을 수 없는 개념. 하나의 정치적인 행위유형이 역사적 유물론의 한 개념과 동일시될 수는 없으며 상대적 자율성을 갖는 상부구조의 영역과 관계됨.


◎ 극복으로서의 맑스주의 : 원리적으로 맑스주의는 그러한 문제를 이론의 용어들로 제기하고 밝히고 해결할 수 있는 그러한 수단을 가지고 있음. 맑스의 철학적 반인간주의는 인간주의를 포함한 기존 이데올로기들의 필요성에 대한 이해를 제공. 비판적이고 혁명적인 이론으로서 맑스의 철학적 반인간주의는 기존의 이데올로기들에 대해 채택할 전략(지지, 변형, 투쟁)에 대한 이해도 또한 제공.

Posted by 김성윤
,